
#금호미술관
《2025 금호 영아티스트》 전시 1부
4월 27일까지, 관람료 5,000원
#2025금호영아티스트누굴까?
금호미술관은 2004년부터 지금까지 금호영아티스트 공모 프로그램을 통해 총 101명의 젊은 작가를 선정하여 개인전 개최를 지원해 오고 있습니다.
전시 《2025 금호영아티스트》는 2024년 제22회 금호영아티스트 공모에서 선정된 작가 6명 각각의 개인전으로 구성됩니다.
1부에서는 작가 강철규, 송승준, 이해반 (4. 27일까지)
2부 (05. 09 ~ 06. 15)에서는 작가 강나영, 유상우, 주형준의 개인전을 선보입니다.
그럼 1부 작가들 소개해볼게요.
1층 전시, 강철규 <투사일지>
작가 강철규는 자전적 경험을 바탕으로 그림 안에 실재와 허구가 교차하는 서사적인 세계를 그려냅니다.
이번 전시 <투사일지>는 ‘이방인’과 ‘포식자’라는 상반된 모티브를 활용해 불안과 대립하는 인간의 본능을 탐구합니다. 광활해보이는 자연이 배경으로 등장하는데, 이야기를 들려주기 위한 배경으로 자연이 가장 그럴싸하게 여겨진다고 합니다. 저도 강철규작가의 작업에 나오는 자연이 매력적이더라구요.
신화적 알레고리와 고전 회화적 요소를 차용한 그의 작품은 인간 내면의 복잡한 심리를 표현하며, 우리가 마주한 불안과 생존의 문제를 상기시키기 때문에 빠져드는 것 같아요.










2층 전시, 이해반 <히든 블루밍>
작가 이해반은 한국의 비무장지대(DMZ) 인근 지역에서 성장한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국가 접경 지역에서 발견되는 경계의 구조와 그 사회문화적인 영향을 탐구합니다. 작가는 국가 간의 충돌을 피하고 긴장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 지대가 인간이 개입하지 않아 자연의 질서가 유지되는 공간이면서도, 동시에 감시와 저지를 위한 군사적인 장치가 공존하는 장소라는 점에 주목합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완충 지대의 자연 속에서 보이지 않는 경계를 표상하는 오렌지색을 중심으로 폭발의 이미지를 담은 풍경 회화 연작과 벽화, 오브제 작업을 선보입니다.
이를 통해 자연의 경이로운 풍경 안에 남아 있는 갈등의 흔적을 그려내며 질서와 혼돈이 교차하는 완충 지대의 모순적 풍경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황홀한 풍경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긴장감, 갈등, 질서와 혼돈의 풍경이라는게 재밌지 않나요?










지하 1층 전시, 송승준 <폴리네이터>
작가 송승준은 자연의 이상화된 면을 강조하는 낭만적 상상력의 대안으로, 자연의 섬뜩하고 모순적인 이면의 모습을 담은 시나리오와 이에 대응하는 설치 작업으로 공간을 연출합니다.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어느 프록시마인의 에세이>라는시나리오를 직접 쓰고 설치작업을 선보입니다. 시나리오는 ‘프록시마'라는 가상의 공중 난민촌을 배경으로, 디스토피아적인 미래 시대 속 주인공이 느끼는 공중 생활의 어려움과 유한한 존재로서 무한한 바람을 탐닉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검은 표면의 가구와 규칙적으로 배열된 마름모꼴 창문, 희미하게 비치는 초록빛 잔상, 바람소리... 시나리오 속 서사는 전시장에서 어떻게 펼쳐지는지, 시나리오도 읽어보시고 작품도 감상해보세요~!








#금호미술관영아티스트#금호영아티스트#신진작가전시#신진작가공모전